Transmission medium 평가 기준
Capacity(Data rate) + (Transmission) Distance
Data rate와 Distanc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Bandwidth
: Bandwidth가 클수록 data rate가 높음
Transmission impairments
: attenuation, noise와 같은 손상은 distance를 제한
Interference
: frequency band가 겹치면 신호가 왜곡되거나 사라질 수 있음
Number of receivers; 수신기 수
: 수신기가 많을수록 attenuation이 더 많이 발생(간섭으로 인해)
Point-to-Point Transmission(Guided Media)

Twisted pair(꼬임선)
: 가격 저렴 / freq range, distance 성능 별로 / attenuation, delay 큼
Optical fiber(광섬유)
: attenuation, delay 낮음 / distance, freq range, bandwidth, data rate 우수
→ 가장 좋고 비쌈 / WAN(backbone network)에 주로 사용
# Repeater Spacing(간격)
: amplifier, repeater 없이 신호가 얼마나 멀리 가는지 = distance
→ 이 거리까진 탐지/ 디코딩 가능하다는 뜻
# Twisted pairs(multipair cables), Coaxial cable, Optical fiber의 delay는 왜 비슷?
→ 모두 2 * 10^8 m/s로 광속의 2/3 정도이기 때문
Twisted Pair
가장 저렴하고 가장 널리 쓰이는 guided medium
두 개의 절연된 구리선이 일정한 나선형 패턴으로 배열
한 쌍의 선이 하나의 통신 링크 역할
여러 쌍의 선이 하나의 케이블로 묶임
전화망이나 건물 내부 통신에 주로 사용
UTP/STP
- UTP; Unshielded Twisted Pair
하나 이상의 꼬임쌍선으로 구성
electromagnetic shielding(전자기 차폐)가 없음
일반 전화선
외부 전자기 간섭에 취약
- STP; Shielded Twisted Pair
금속 차폐선이나 피복이 있어 간섭 줄음
높은 data rate에서 더 나은 성능
가격 더 비쌈
NEXT; Near-End Crosstalk
송신된 신호가 같은 케이블(시스템) 내 다른(수신) 라인에 간섭을 주는 현상
예) 시스템 A가 신호를 송신하면, 이 신호가 시스템 B를 통해 수신기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시스템 A의 송신 신호가 시스템 A의 수신기로 다시 유도
신호 품질 저하의 원인 중 하나
NEXT loss가 클수록 crosstalk noise는 작아짐
Coaxial Cable
twisted pair보다 더 긴 거리 전송 및 더 많은 스테이션 공유(사용자 지원) 가능
data rate가 높다면 twisted pair보다 coaxial cable 사용
중심 도체를 감싸는 원통형 외부 도체로 구성
TV, 장거리 전화, LAN 등 널리 다양하게 사용
주파수 특성(대역폭 등)은 twisted pair보다 우수
성능은 감쇠와 노이즈에 의해 제한
단 감쇠도 twisted pair보단 낮음
아날로그 신호
주기적으로 증폭기 필요(주파수가 높을수록 간격 짧아짐)
사용 가능한 스펙트럼은 최대 500MHz
디지털 신호
data rate가 높을수록 리피터 간격 줄음
일반적으로 1km마다 리피터 필요
Optical Fiber; 광섬유
빛을 유도하는 얇고 유연한 매체
Photons(광자)를 이용한 전송; 전자(electrons) 신호 아님
유리 or 플라스틱 코어를 통한 내부 전반사(total internal reflection) 기반 전송
내부 전반사는 굴절률(refraction) 차이에 기반하며, 코어가 더 높은 굴절률
Core / Cladding / Jacket 구조의 원통형
장거리 통신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Backbone/core network 등 WAN에서 주로 사용
장점
capacity(data rate) 최고
: 수백 Gbps, Tbps까지 가능
attenuation 거의 없음
전자기 간섭 없음(Electromagnetic isolation)
: 간섭, impulse noise, crosstalk에 강함
작고 가벼움(사람 머리카락 두께보다 얇음)
단점
많이 비쌈, 설치 및 유지보수 어려움
#코어 지름(사이즈)는 싱글모드냐 멀티모드냐에 따라 달라짐
: 멀티모드면 훨씬 두꺼워짐
Wireless Transmission Frequencies
- (Broadcast) Radio(30MHz ~ 1GHz)
: 전방향성(omnidirectional)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 Microwave(1GHz ~ 40GHz)
- 적외선(Infrared)(300GHz ~ 200THz)
# air도 transmission medium
안테나; Antenna
전자기 에너지(파워)를 방사(radiate) 또는 수집(collect)하는
전도체 또는 도체(conductor)들의 시스템
송신기로부터의 라디오 주파수 전기 에너지는 안테나를 통해 전자기파로 변환되어 주변으로 방사
수신(reception)은 전자기파가 안테나와 교차(intersect)할 때 발생
양방향(two-way) 통신에서는 하나의 안테나가 송수신 둘 다 수행 가능
안테나는 모든 방향으로 신호를 방사할 수 있지만, 동일하게 성능을 내지는 않음
대부분의 안테나는 특정 방향으로 더 잘 방사/수신
Radiation Pattern
: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공간 좌표(space coordinate)의 함수로 나타낸 그래픽 표현
Isotropic Radiator(등방성 라디에이터)

모든 방향에 동일하게 방사(3차원)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며, theoretical(이론적)/reference(참조)/ideal 안테나
Antenna Gain
- 특정 방향에서의 power output이 등방성 안테나에서의 출력 대비 얼마나 큰가
- 안테나의 방향성(directionality) 측정값
: 더 멀리 간다는 것은 방향성이 더 강하다는 것
- 단위는 dB(데시벨)
- 안테나의 유효 면적은 물리적 크기와 형태에 따라 결정
- 특정 방향으로 복사되는 power의 증가는 다른 방향에서의 power 감소
주된 방사 방향(main lobe)에서의 최대 power와 등방성 라디에이터의 power 간 비율

P1: 기준 안테나(등방성)의 power density(밀도)
P2: 실제 안테나의 power density
dBd = dBi - 2.15
dBi: 등방성 안테나 기준 gain / dBd: 다이폴 안테나 기준 이득

# 빨간색 부분이 main lobe / 파란색 부분이 side lobe
Terrestrial Microwave
지상 간 고주파 전송 방식
보통 직선성 강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는 point-to-point 통신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parabolic dish(파라볼릭 디시)
일반 직경은 3m
안테나는 고정 설치, 매우 좁은 빔을 형성해 LOS로 전송
# 빔 좁을수록 더 멀리 감
지상에서 높은 곳에 설치
여러 개의 마이크로파 중계탑(relay towers)이 장거리 전송을 가능케 함
장거리(long-haul) 통신 서비스에 사용(coaxial cable or 광섬유 대용)
voice 및 TV transmission 둘 다에 사용 가능
repeater는 적게 필요하지만, line-of-sight(LOS) 필요
# LOS: 관측자와 target 사이 가상의 직선 거리(경로); 눈으로 볼 수 있는 거리
1 ~ 40GHz 주파수 사용
주요 손실 요인은 attenuation(거리, 강우, 간섭에 의한)
# 라디오: 낮은 주파수 → 큰 안테나 / 셀룰러: dipole 안테나 사용
Satellite Microwave
통신 위성은 실질적으로 마이크로파 relay station(중계기) 역할을 함
둘 이상의 ground stations(지상국)을 연결하는 데 사용
위성은 한 주파수 대역(freq band)로 전송을 받으면(uplink), 이를 증폭(amplifie)하거나 중계(repeat)한 뒤, 다른 주파수로 전송함(downlink) → freq band들 = transponder 채널
즉, 위성은 송신과 수신 주파수가 다름; 서로 간섭을 피하기 위해
uplink: 지상 → 위성
downlink: 위성 → 지상
Satellite Microwave Applications
- Long-distance telephone transmission
- Private business network
- Television distribution
- Global positioning(GPS)
위성 전송에 적절한 frequency range는 1 ~ 10 GHz
1GHz 이하: 자연에서 오는 noise가 많음
10GHz 이상: 대기(atmosphere), 강수(precipitaion) 등에 의한 attenuation 심함
일반적인 주파수 사용 범위:
업링크(uplink): 5.925 ~ 6.425 GHz
다운링크(downlink): 3.7 ~ 4.2 GHz
→ 이를 4/6 GHz band 라고 부름
Broadcast Radio
전방향성(omnidirectional) # 마이크로파는 방향성(directional)
Radio는 3 KHz ~ 300 GHz (여기서 Radio는 전체 Radio wave)
Broadcast radio는 30 MHz ~ 1 GHz
LOS에 한정(필요)
multipath interference 발생 가능(반사, 굴절, 회절 등으로 인해)
Infrared; 적외선
noncoherent(위상 고정 X) 적외선을 변조하는 송수신기로 구현
송수신기(transceiver)는 LOS 내에 있어야 함
벽은 직접 통과(penetrate) 못 함(300 GHz ~ 400 THz)
lincensing 필요 없음
Types of Waves
- Space Wave(30MHz ~ 3000GHz)
- Sky Wave(300kHz ~ 30 MHz)
- Ground Wave(3kHz ~ 300kHz)
Ground Wave Propagation
지표면을 따라 휘며 전파, 수평선 너머까지 전파 가능
약 2 MHz까지의 주파수에서 발생
예) AM 라디오
Sky Wave Propagation
2 ~ 30 MHz는 Ionosphere(전리층)에 반사되어 지구 반대편까지 도달
국제 방송에 사용(BBC, VoA 등)
여러 번 전리층과 지표면을 왕복 반사하며 장거리 전파 가능
Ground/Sky wave propagation은 30 MHz 이상에서는 동작 X
30MHz 이상에서는 반드시 LOS(Light-Of-Sight)로만 전파 가능
; 장애물이 없어야만 수신 가능
# LOS 전송은 거리 증가로 인한 free space Loss, 대기 흡수(atmospheric absorption), multipath, refraction(굴절) 등 여러 장애 요인 O
# cf) 300 GHz ~ 200 THz: infrared(IR) spectrum / 200 THz : visible and ultraviolet(UV)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ulation (0) | 2025.04.11 |
---|---|
Signal Encoding Techniques (0) | 2025.04.09 |
Data Transmission (0) | 2025.04.02 |
Protocol Architecture (0) | 2025.03.28 |
데이터 네트워크와 인터넷 (0) | 2025.03.24 |